목차
이 글과 연관된 글
- 시간 복잡도 기본 (Time Complexity Basic) - Part 1
- 시간 복잡도 기본 (Time Complexity Basic) - Part 2
- 시간 복잡도 기본 (Time Complexity Basic) - Part 4
시간 복잡도 계산 방법
시간 복잡도를 계산하는 방법은, 코드를 한 줄씩 읽으면서, 각 줄이 실행되는 횟수를 계산하면 됩니다.
단, 실제로 실행되는 코드 줄 수를 정확하게 세는 것이 아닙니다. 시간 복잡도는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횟수가 바뀌는 줄 수만 계산합니다.
즉, 어떤 입력이 들어와도 실행되는 횟수가 바뀌지 않는다면, 어떤 입력을 넣던 항상 고정된 상수 시간이 걸리는 코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이때, 들어오는 입력이 무한대(매우 큰 수)로 커질 때, 상수 시간이 걸리는 코드는 실행 시간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집니다.
따라서 상수 시간이 걸리는 코드는 시간 복잡도를 계산할 때 무시하는 게 일반적입니다.
하지만, 상수 시간이 제한 시간 안에 실행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면, 경우에 따라 \(O(100,000)\) 처럼 상수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표현하기도 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이후 파트를 확인해 주세요.
예시 1
먼저 다음 코드를 보겠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n, sum = 0;
scanf("%d", &n);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
sum += i;
}
printf("sum = %d", sum);
return 0;
}
위 코드는 n
을 입력받은 뒤, 1
부터 n
까지 합을 구하는 코드입니다.
코드에서 각 줄이 실행되는 횟수를 계산해 보겠습니다.
이때
scanf
,printf
는 내부적으로 실행되는 코드가 여러 줄 더 있지만, 보통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므로 이 글에서도 무시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n, sum = 0;
scanf("%d", &n); // 1번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 // 이 포문은 n번 반복합니다.
sum += i; // n번
}
printf("sum = %d", sum); // 1번
return 0;
}
위 코드는 총 \(1 + n + n + 1 = 2n + 2\) 줄이 실행됩니다.
하지만 scanf
, printf
는 실행 시간이 상수 시간이므로 시간 복잡도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.
또 \(2n\) 의 경우 시간 복잡도에서는 \(n\)처럼 상수를 제외하고 표현합니다.
\(2n\) 의 경우 \(n\)처럼 상수를 제외하고 표현하는 이유는, 어차피 시간 복잡도가 완벽하게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 상수를 제외하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시간 복잡도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를 계산할 때 쓸모없는 행동(정확히 몇 번 실행되는지 세고 있는 행동 등)을 하지 않기 위함입니다.
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매우 큰 상수가 붙어서 실행 시간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\(1,000n\) 처럼 표현하기도 합니다.
따라서 같은 시간 복잡도를 갖는 알고리즘을 비교할 때, 이 알고리즘은 상수가 작다, 크다 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
따라서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시간 복잡도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.
Big-O Notation
- \(O(n)\) - 아무리 느려도 \(n\)번 안에 실행이 끝납니다.
- \(O(n\sqrt{n})\) - 아무리 느려도 \(n\sqrt{n}\)번 안에 실행이 끝납니다.
- \(O(n^2)\) - 아무리 느려도 \(n^2\)번 안에 실행이 끝납니다.
Big-Ω Notation
- \(\Omega(n)\) - 아무리 빨라도 \(n\)번 이상 실행됩니다.
- \(\Omega(\sqrt{n})\) - 아무리 빨라도 \(\sqrt{n}\)번 이상 실행됩니다.
- \(\Omega(1)\) - 아무리 빨라도 상수 시간은 걸립니다.
Big-θ Notation
- \(\Theta(n)\) - 이 코드는 \(O(n)\)이면서 \(\Omega(n)\)입니다.
Big-θ Notation은 위 경우처럼 Big-O Notation과 Big-Ω Notation 두 표현법 모두 모순이 없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상한선과 하한선이 모두 \(n\) 이므로 이 코드는 항상 \(n\)번 실행된다는 것을 보장합니다.
시간 복잡도 계산 결과
따라서, 위 코드의 시간 복잡도는 \(O(n)\), \(\Omega(n)\), \(\Theta(n)\) 입니다.
일반적으로 블로그에선 \(O(n)\)만 표기합니다.
예시 2
다음 코드를 보겠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n, m, sum = 0;
scanf("%d%d", &n, &m);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
for (int j = 1; j <= m; ++j) {
sum += i * j;
}
}
printf("sum = %d", sum);
return 0;
}
위 코드는 (1 * 1) + (1 * 2) + … + (1 * m) + (2 * 1) + (2 * 2) + … + (2 * m) + … + (n * 1) + (n * 2) + … + (n * m) 을 구하는 코드입니다.
코드에서 각 줄이 실행되는 횟수를 계산해 보겠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n, m, sum = 0;
scanf("%d%d", &n, &m); // 1번
for (int i = 1; i <= n; ++i) { // 이 포문은 n번 반복합니다.
for (int j = 1; j <= m; ++j) { // 이 포문은 m번 반복합니다.
// m번 반복하는 포문이 n번 반복되므로, 총 n * m번 반복됩니다.
sum += i * j; // n * m번
}
}
printf("sum = %d", sum); // 1번
return 0;
}
위 코드는 총 \(1 + n + m + n \times m + 1 = n \times m + n + m + 2\) 줄이 실행됩니다.
따라서, 이 코드의 시간 복잡도는 \(\Theta(nm)\) 입니다.
\(\Theta(nm + n + m)\) 으로 표기하지 않는 이유는 \(n\), \(m\)이 무한대(매우 큰 수)로 커지면 \(n + m\)은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경우에 따라 \(\Theta(nm + n + m)\)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.